2012년과 2013년에 서울의 버려진 공터와 지하도에서 초연된 두 연극은 기본적으로 동일한 서사 구조를 기반으로 한다.연극의 등장인물들은 우연히 도시의 버려지고 고립된 장소에 갇히게 되고, 그곳에서 무의식 속에 숨겨져 있던 과거의 기억과 마주하게 된다.
우리는 버려진 공간에 축적된 시간성과 숨겨진 기억이 드러나는 방식에 주목하여, 개인의 기억과 도시 공간이 일종의 무의식적 은유로 연결되어 있다는 가정에서 출발했다.
공공장소에 연극적 개입을 통해 공연의 공간 개념을 확장하고 일상의 공간에 서사적 균열을 일으키는 시도를 했다.

The two plays, which premiered in 2012 and 2013 in abandoned lots and underpasses in Seoul, share a fundamentally identical narrative structure.
The characters in the plays find themselves trapped in the city’s abandoned and isolated spaces, where they confront past memories that have been buried deep in their unconscious.
We focused on how the temporality accumulated in these abandoned spaces and hidden memories come to light, starting from the assumption that personal memories and urban spaces are interconnected as a kind of unconscious metaphor.
Through theatrical interventions in public spaces, we aimed to expand the concept of performance space and introduce narrative disruptions into everyday environments.